HTTP

HTTP

HTTP #5. HTTP 상태 코드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의 복습을 위한 글이며 글에 나오는 모든 그림의 저작권은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상태 코드 HTTP의 상태 코드는 클라이언트가 보낸 HTTP 요청이 성공했는지 실패했는지를 서버에서 알려주는 숫자 코드이다. 개발자 도구의 네트워크 탭을 보면 아래와 같이 Status 숫자 코드로 요청의 결과를 간략하게 나타내주는데, 클라이언트를 다루는 개발자들은 이 숫자를 보고 별과를 단번에 유추할 수 있게 된다. HTTP 상태 코드는 3자리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총 100번대 ~ 500번대 까지 존재한다. 그리고 각 상태 코드의 첫 번째 자리는 최상위 코드가 되어 다음과 같이 5개의 그룹으로 나뉘어 관리된다. 1xx : 요청이 수신되어 처리중 2xx : 요청 정상 처리 3x..

HTTP

HTTP #4. HTTP 메소드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의 복습을 위한 글이며 글에 나오는 모든 그림의 저작권은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HTTP 메소드 HTTP 메소드란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일컫는다. 쉽게 말하면 서버에 주어진 리소스에 수행하길 원하는 행동, 서버가 수행해야 할 동작을 지정하는 요청을 보내는 방법이다. 주요 메소드는 다음과 같다. GET : 리소스 조회 POST : 요청 데이터 처리, 주로 등록에 사용 PUT :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PATCH : 리소스 부분 변경 DELETE : 리소스 삭제 잘 사용하진 않지만 다음과 같은 메소드들도 있다. HEAD : GET과 동일하지만 메시지 부분을 제..

HTTP

HTTP #3. HTTP Basic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의 복습을 위한 글이며 글에 나오는 모든 그림의 저작권은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HTTP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Request)/응답(Response)프로토콜이다. HTTP 특징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무상태 프로토콜(Stateless), 비연결성 Http 메시지 단순함, 확장 가능성 클라이언트 - 서버 구조 Request - Response 구조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대기한다. 서버는 요청에 대한 결과를 만들어서 응답한다. Stateful, Stateless Stateful(상태 유지) 서버의 내부 상태 유지를 요구하는 프로토콜이다. Stateful(상태 유..

HTTP

HTTP #2. URI와 웹 브라우저 요청 흐름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의 복습을 위한 글이며 글에 나오는 모든 그림의 저작권은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URI, URL, URN URI는 인터넷에 있는 자원을 나타내는 유일한 주소이다. URI는 로케이터(Locator), 이름(Name) 또는 둘 다 추가로 분류될 수 있다. Uniform :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 Resource : 자원, 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 Identifier :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데 필요한 정보 URL - Locator: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정 URN - Name: 리소스에 이름을 부여 URL은 프로토콜(Https), 호스트명, 포트 번호, 경로, 쿼리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 scheme://[userinfo@]host[:port]..

HTTP

HTTP #1. 인터넷 네트워크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의 복습을 위한 글이며 글에 나오는 모든 그림의 저작권은 김영한 강사님께 있습니다. 인터넷 통신 클라이언트와 서버 두 개의 컴퓨터가 통신하기 위해서는 클라이언트(Client) : 사용자를 대신하여 동작하는 모든 도구 서버(Server) : 클라이언트에 의한 요청에 대한 문서를 제공 인터넷이라고 하는 컴퓨터 네트워크 통신망을 이용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인터넷은 복잡하고 수 많은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다. IP(인터넷 프로토콜)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서 각 클라이언트, 서버는 IP 주소를 갖고 있다. IP(인터넷 프로토콜)는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고, 패킷(Packet)이라는 통신 데이터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프로토콜(Protoco..

SeongJun Han
'HTTP'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