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 선언위치에 따른 변수의 종류 변수는 클래스변수, 인스턴스변수, 지역변수 세 종류가 있다. 변수의 종류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변수의 선언된 위치이다. 멤버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은 모두 지역변수이며, 멤버변수 중 static이 붙은 것은 클래스변수, 붙지 않은 것은 인스턴스 변수이다. class Variable { int iv; // 인스턴스 변수(멤버 변수) static int cv; // 클래스 변수(멤버 변수) void method() { int lv = 0; // 지역 변수 } } 변수의 종류 선언 위치 생성 시기 클래스 변수 클래스 영역 클래스가 메모리에 올라갔을 때 인스턴스 변수 인스턴스가 생성되었을 때 지역 변수 클래스 영역 이외의 영역 (메소드, 생성자, 초기화 블럭 내부) 변수..
객체지향언어 객체지향이론의 기본 개념은 '실제 세계는 사물(객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발생하는 모든 사건들은 사물간의 상호작용이다.' 라는 것이다. 객체지향언어 객체지향언어는 기존 프로그래밍언어와는 다르게 아예 새로운 개념이 아니라,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몇 가지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 보다 발전된 형태의 것이다. 이러한 규칙들을 이용해서 코드 간에 서로 관계를 맺어 줌으로써 보다 유기적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객체지향언어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다. →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때 기존의 코드를 이용하여 쉽게 작성할 수 있다. 2. 코드의 관리가 용이하다. → 코드간의 관계를 이용해서 적은 노력으로 쉽게 코드를 변경할 수 있다. 3. 신뢰성이 높은 프로그래..
배열(Array) 배열이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을 배열(Array)이라고 한다. 👉 배열은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변수 대신 배열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변수의 선언과 달리 다뤄야할 데이터의 수가 아무리 많아도 단지 배열의 길이만 바꾸면 된다. int score1, score2, score3, score4, score5; int[] score = new int[5]; 배열의 선언과 생성 배열의 선언 배열을 선언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원하는 타입의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 또는 타입에 배열임을 의미하는 대괄호 [] 를 붙이면 된다. 배열의 생성 배열을 선언한 다음 배열을 생성해야한다. 배열을 선언하는 것은 단지 생성된 배열을..
프로그램의 흐름(flow)을 바꾸는 역할을 하는 문장들을 제어문(control statement)이라고 한다. 제어문에는 조건문과 반복문이 있는데, 조건문은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이 수행되도록 하고, 반복문은 특정 문장들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조건문 if 문 if 문은 가장 기본적인 조건문이다. 만일(if) 조건식이 참(true)이면 괄호 {} 안의 문장들을 수행하라 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된다. if (조건식) { // 조건식이 참일 때 수행 } if - else 문 기존 if 문에 else블럭이 추가되었다. else의 뜻이 '그 밖의 다른' 이므로 조건식의 결과가 참이 아닐 때, 즉 거짓일 때 else블럭의 문장을 수행하라는 뜻이다. if (조건식) { // 조건식일 참일 때 수행 } else { //..
연산자(Operator) 연산자와 피연산자 연산자가 연산을 수행하려면 반드시 연산의 대상이 필요하다. 이것을 피연산자(operand)라고 한다. 연산자(Operator) : 연산을 수행하는 기호(+, -, *, / 등) 피연산자(Operand) : 연산자의 작업 대상(변수, 상수, 리터럴, 수식 등) 연산자는 피연산자로 연산을 수행하고 나면 항상 결과값을 반환한다. 식과 대입연산자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조합하여 계산하고자하는 바를 표현한 것을 식(Expression)이라고 한다. 그리고 이 식을 계산하여 결과를 얻는 것을 식을 평가(Evalutation)한다 라고 한다. 연산자의 종류 연산자는 아래 표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크게 산술, 비교, 논리, 대입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피연산자의 개수에 의한 ..
기본형 논리형 - boolean 논리형에는 boolean 한 가지 밖에 없다. true와 false 중 하나를 저장할 수 있으며, 기본값(dafalut)은 false이다. boolean power = true; boolean power2 = false; 문자형 - char 문자형 역시 char 한 가지 밖에 없다. 단 하나의 문자를 저장할 수 있다. char str = 'A'; char 타입의 표현 방식 char 타입의 크기는 2 byte(=16 bit)이므로, 16자리의 2진수로 표현할 수 있는 정수의 개수인 65536개(\(2^{16}\))개의 코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로 'A'를 저장하면, 2진수인 0000000001000001(10진수로 65)가 저장된다. char 타입은 문자를 저..
진법 10진법과 2진법 10진법은 10개의 수를 가지고 수를 표현하는 방식이고, 2진법은 0과 1이라는 두 개의 숫자만을 사용하여 수를 나타내는 진법을 말한다. 대부분의 컴퓨터는 2진 체계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2진법을 알지 못하면 컴퓨터의 동작원리나 데이터 처리방식을 온전히 이해할 수 없다. 지금까지는 변수에 값을 저장하면 10진수로 저장되는 것처럼 설명을 하였지만, 컴퓨터는 2진수(0과 1) 밖에 모르기 때문에 아래의 오른쪽과 같이 2진수로 바뀌어 저장된다. int age = 25; age : 25 --> age : 11001 2진수 10진수 0 0 1 1 10 2 11 3 100 4 101 5 110 6 111 7 1000 8 2진수 1에 1을 더하면 2가 아닌 10이 되고, 2진수 11에 1을 더..
변수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Variable)이란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상의 공간”을 의미한다. 👉 변수란, 단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 변수의 선언 변수를 사용하려면 먼저 변수를 선언해야 하는데, 변수의 선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변수타입 변수이름; int age; //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선언 변수타입 : 변수에 저장될 값이 어떤 타입(type)인지를 지정하는 것. 변수이름 : 말 그대로 변수에 붙인 이름이다. 서로 구별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같은 이름으로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안된다. 변수를 선언하면, 메모리의 빈 공간에 ‘변수타입'에 알맞은 크기의 저장공간이 확보되고, 앞으로 이 저장공간은 ‘변수이름'을 통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변수의 초기화 메모리는 여러 프로그램..
자바란? 자바는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개발하여 1996년에 공식적으로 발표한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 자바의 가장 중요항 특징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에 독립적이라는 것이다.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운영체제의 종류에 관계없이 실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영체제에 따라 프로그램을 전혀 병경하지 않고도 실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자바는 다양한 기종의 컴퓨터와 운영체제가 공존하는 인터넷 환경에 적합한 언어로써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할 수 있었다. 또한 자바는 풍부한 클래스 라이브러리(Java API)를 통해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요소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자바 프로그래머는 단순히 이 클래스 라이브러리만 잘 활용해도 강력한 기능의 자바 프로그램..